분류 전체보기361 인터페이스의 default, static 키워드(Java8) 개인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Intro default 키워드 2-1. 샘플 코드 static 메소드 3-1. 샘플 코드 1. Intro Java에서 기존의 인터페이스는 상수와 추상 메소드만을 멤버로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Java8부터는 default 키워드를 사용해서 인터페이스에 메소드를 선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defaul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함으로써 인터페이스에 메소드의 구현부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Java8부터 인터페이스에 static 메소드를 선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default 키워드 2-1. 샘플 코드 인터페이스 public interface Calculator { int add(int x, int y.. 2021. 10. 5. Form 데이터 요청을 DTO에 바인딩하는 방법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Intro 바인딩 기준 샘플 코드 3-1. form 데이터 3-2. RestController 3-3. DTO class 결과 1. Intro Spring RestController에서 form 데이터를 받았을 때 이 값을 어떻게 DTO 객체로 바인딩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바인딩 기준 스프링 MVC가 파라미터로 DTO 객체를 선언해서 자동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온 폼 데이터 요청 파라미터를 수집할 때 input 태그의 name 속성과 선언된 DTO 클래스의 멤버변수 이름이 같아야 바인딩을 시켜줍니다. 따라서 form 태그를 작성할 때 name속성은 필수 속성으로, 바인딩하고자 하는 DTO 클래스의 멤버변수와.. 2021. 10. 3. @RequestBody, @ResponseBody (feat. Jackson 라이브러리 동작방식)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Intro HttpMessageConverter JSON을 사용한 Client 요청을 Spring이 처리하는 과정 @RequestBody, @ResponseBody 동작방식 1. Intro Spring Framework에서 많이 사용하는 @RequestBody, @ResponseBody 동작 방식에 대해 살펴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RequestBody,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이 붙은 객체는 get이나 set 키워드가 붙은 메서드에 대해서만 값이 바인딩됩니다. 그래서 getter 또는 setter를 열어둬야 합니다. 객체 내의 필드(변수) 값을 기반으로 데이터가 매핑되는 것이 아닌 get키워드나 set키워드가 .. 2021. 10. 2. 생성자 주입 방식의 장점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 출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INTRO 생성자 주입 방식의 장점 2-1. 의존 관계 주입 문제를 컴파일 타임에 인지 가능 2-2. 테스트 코드 작성 용이 2-3. 의존성 주입이 필요한 필드를 final로 선언 가능 1. INTRO 스프링에서는 Setter 주입, 필드 주입, 생성자 주입 이렇게 세 가지 방식으로 DI를 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생성자 주입을 사용할 때의 장점에 대해서만 알아보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출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2. 생성자 주입 방식의 장점 2-1. 의존 관계 주입 문제를 컴파일 타임에 인지 가능 특정 객체를 생성하는 시점에 의존관계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객체 생성이 불가능합니다. 위 문제를 컴파일 타임.. 2021. 10. 1.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91 다음